728x90
반응형
네트워크는 규모는 물리적 거리와 사용자 수, 용도에 따라 분류된다. 각 규모는 네트워크를 설계하거나 구현할 때 다른 요구사항과 특징을 가진다.
PAN (Personal Area Network) - 개인 영역 네트워크
- PAN은 단일 사용자 또는 소수의 개인 기기 간 연결을 목적으로 설계된 네트워크
- 범위 및 예시
- 약 10미터 이내.
- 블루투스, NFC (Near Field Communication)
-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, 무선 이어폰 연결.
- 웨어러블 기기
- IoT(사물인터넷) 기기
- 특징
- 저전력, 저비용, 짧은 거리 통신.
- 개인 장치 간 연결에 주로 사용됨.
- 매우 제한적인 통신 범위와 데이터 전송 속도
LAN (Local Area Network) - 근거리 통신망
- LAN은 비교적 좁은 범위에서 기기를 연결하여 자원 공유와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.
- 범위 및 예시
- 개인, 기업, 학교 등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유형
- 쉽게 설명을 하면 관리자가 직접 관리가 가능한 영역을 LAN 영역이라 함
- 수십 미터에서 수 킬로미터(10km의 거리 제한)
- 특징
- 100Mbps ~ 수십 Gbps의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
- 유선 케이블, 적외선 링크, 무선 송수신기 등을 이용하여 통신
- 일반적으로
스위치
(네트워크 장비 간 통신을 연결) +라우터
(외부 네트워크와 LAN을 연결)로 구성됨
1. 스위치만으로 구성된 LAN
스위치 기반 LAN은 기업이나 사무실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식으로, 네트워크 장치들이 모두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다.
구성 요소
- 스위치: 네트워크의 중심 장치로 각 기기를 물리적으로 연결
- 유선 연결: 각 장치(PC, 서버, 프린터 등)가 UTP 케이블을 통해 스위치와 연결
- DHCP 서버 (필요 시): 스위치만으로는 IP 주소를 자동 할당할 수 없으므로, 별도의 DHCP 서버를 구성하거나 고정 IP를 사용
장점
- 고속 데이터 전송 (일반적으로 1Gbps 이상).
- 안정적이며 낮은 지연 시간.
- 스위치 간 연결을 통해 확장 가능.
단점
-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면 라우터가 추가적으로 필요.
- 유선 연결만 가능(무선 지원 없음).
2. 공유기를 활용한 LAN (가정 및 소규모 환경)
공유기를 사용하는 LAN은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구성이다. 공유기는 라우터, 스위치, 무선 AP(Access Point)가 통합된 장치이다.
구성 요소
- 공유기: 인터넷을 제공하고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.
- 유선 연결: 공유기 뒤에 내장된 스위치 포트를 통해 PC, 프린터 등 유선 장치를 연결.
- 무선 연결: Wi-Fi를 통해 스마트폰, 태블릿, 노트북 등 무선 장치를 연결.
- 인터넷 연결:
- WAN 포트를 통해 ISP(인터넷 서비스 제공자)의 모뎀에 연결.
- 내부 네트워크에서 외부 인터넷으로의 통신을 관리.
- DHCP 기능: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.
장점
- 설치 및 설정이 간단.
- 유선 및 무선을 동시에 지원.
- 가정 및 소규모 사무실에 적합한 저비용 솔루션.
단점
- 고속 데이터 전송이 어려움(특히 저가형 공유기).
- 많은 장치를 연결하면 성능 저하 가능.
3. 스위치 + 라우터 조합 LAN (중소규모 환경)
중소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스위치와 라우터를 분리하여 구성한다. 스위치는 장치 간 통신을, 라우터는 외부 인터넷 연결과 네트워크 관리를 담당한다.
구성 요소
- 스위치: 여러 네트워크 장치를 연결.
- 라우터: 인터넷과 LAN을 연결하며,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와 방화벽을 관리.
- 무선 AP (필요 시): 무선 네트워크가 필요하면 별도의 AP를 추가.
- 서버 (선택 사항): DHCP 서버, 파일 서버, 프린터 서버 등 특정 서비스를 제공.
구성 방식
- ISP 모뎀 → 라우터 WAN 포트 → 라우터 LAN 포트 → 스위치.
- 스위치 → PC, 프린터, 서버 등 각 장치 연결.
장점
- 유연성과 확장성.
- 라우터와 스위치를 분리함으로써 성능 향상.
- 많은 장치를 안정적으로 연결 가능.
단점
- 설치와 설정이 복잡.
- 초기 비용 상승.
4. 무선 중심 LAN (Wi-Fi 중심 구성)
Wi-Fi를 중심으로 한 LAN은 주로 무선 인터넷 환경을 요구하는 현대 사무실이나 공공 장소에서 사용된다.
구성 요소
- 무선 AP(Access Point):
- Wi-Fi 신호를 제공하며,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장치를 연결.
- 스위치 또는 라우터에 연결됨.
- 스위치/라우터:
- 유선 네트워크 관리와 인터넷 연결 제공.
- 클라이언트 장치: 스마트폰, 노트북, 태블릿 등.
구성 방식
- ISP 모뎀 → 라우터 → 스위치 → 무선 AP
- 무선 AP → 무선 장치 연결.
장점
- 이동성과 편리성
- 유선 설치가 어려운 환경에 적합
- 현대적인 디바이스 친화적.
단점
- 유선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낮음
- 무선 신호 간섭 발생 가능
LAN 구성 방식 비교
구성 방식 | 특징 | 장점 | 단점 |
스위치 기반 LAN | 스위치로만 구성, 유선 연결 중심 | 고속, 안정적, 확장 가능 | 인터넷 연결 시 추가 장비 필요 |
공유기 기반 LAN | 공유기를 통해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지원 | 설치 간단, 비용 저렴 | 성능 제약, 확장 어려움 |
스위치 + 라우터 조합 | 라우터가 인터넷 연결 관리, 스위치로 내부 장치 연결 | 성능 우수,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| 설치 복잡, 초기 비용 높음 |
무선 중심 LAN | 무선 AP를 통해 Wi-Fi 네트워크 중심 | 이동성, 설치 용이 | 성능 저하, 신호 간섭 가능 |
MAN (Metropolitan Area Network) - 도시권 통신망
- MAN은 LAN을 여러 개 연결하여 더 넓은 지역(도시 또는 캠퍼스)을 커버하는 네트워크로, 지역 정부나 대학이 MAN을 운영하며, 공공 네트워크 또는 전용 네트워크로 구성
- 범위 및 에시
- 수 킬로미터에서 수십 킬로미터(50km 거리 내에서 이용)
- LAN보다 넓고 WAN 보다 좁음
- 도시 Wi-Fi 네트워크, 대학 캠퍼스 네트워크, 공공 기관의 연결 네트워크 등이 해당됨
- 특징
- 여러 LAN을 연결하여 더 넓은 지역에서 리소스를 공유.
- 고속 전송을 위해 광섬유 기반 고속 네트워크, 무선(Wi-Fi, WiMAX) 및 유선 연결 사용
- 넓은 범위를 커버하며, 고속 데이터 전송 가능
- 네트워크 관리가 복잡하고, 초기 설치 비용이 높음
WAN (Wide Area Network) - 광역 통신망
- WAN은 넓은 지리적 범위에서 여러 LAN과 MAN을 연결하여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함. 일반적으로 통신 사업자가 구축하고 운영하며, WAN 사용자는 이 서비스를 임대하거나 사용료를 지불
- 범위 및 예시
- 국가 간 또는 대륙 간 연결
- 두 개 이상의 LAN 영역을 연결한 영역
- 인터넷
- 대규모 클라우드 데이터센터
- 특징
- 주로 통신 사업자(ISP)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 제공
- 라우터, 스위치, 게이트웨이 등 다양한 장비가 필요
- 위성 통신, 광섬유 네트워크, MPLS(Multi-Protocol Label Switching) 등을 사용
- 지리적 제약이 없으며, 대규모 데이터를 전송 가능
-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(LAN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림)와 높은 비용과 관리의 어려움
네트워크 특징 비교 표
종류 | 범위 | 기술 및 특징 | 사용 사례 |
PAN | 수 cm ~ 10m | 블루투스, NFC, 개인 기기 간 연결 | 웨어러블 기기, 스마트폰, IoT 기기 |
LAN | 수 m ~ 수 km(10km 이내) | 스위치, 라우터, 빠른 데이터 전송 | 회사 네트워크, 가정용 Wi-Fi |
MAN | 수 km ~ 수십 km(50km 이내) | 광섬유, 무선 통신, 지역 네트워크 | 도시 공공 Wi-Fi, 대학 캠퍼스 |
WAN | 수십 ~ 수천 km | 위성, 광섬유, 글로벌 통신 | 인터넷, 다국적 기업 네트워크 |
728x90
반응형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인터넷 공유기의 작동 원리 (0) | 2024.11.21 |
---|---|
[Network] 네트워크의 3가지 구조(Inline, Out of Path, Proxy) (1) | 2024.11.20 |
[Network] Application Layer Protocol (1) | 2024.11.18 |
[Network] IP 핵심 (IP 종류, NAT, 공유기, 포트 포워딩, DDNS) (0) | 2024.11.17 |
[Network] 서브넷팅 (0) | 2024.11.16 |